quick_menu_tit

진료정보

진료시간안내

CONSULTATION HOUR

  • 월화목금 8:30 ~ 17:00
  • 수요일 8:30 ~ 12:00
  • 토요일 8:30 ~ 12:00
  • 점심시간 12:30 ~ 14:00

일요일/공휴일 : 휴진

전화상담문의

  • 진료정보
  • 갱년기

갱년기

 갱년기란? 갱년기의 치료
 갱년기와 골다공증
갱년기와 골다공증
 
폐경 후에는 매년 4% 이상의 골 손실이 일어나 골다공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즉 폐경으로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감소하면서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 골 질량이 감소하고 뼈가 버석버석 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전에는 넘어져도 고작 멍이 들었을 정도의 충격이지만 폐경 후에는 쉽게 골절되거나 심지어는 엉덩이 뼈 같은 고관절의 골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위험요소
폐경이 되면 매년 1~3%씩 감소하여 수년 내에 골밀도는 정상보다 표준편차의 1~2배 이하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골밀도가 감소하는 현상은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의 감소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열거한 여성들은 건강한 여성에 비해 골다공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여성들입니다.
골다공증의 가족력이 있는 여성
폐경이 일찍 온 여성
수술로 난소를 제거한 여성
음주나 흡연을 하는 여성
카페인 섭취가 많은 여성
칼슘 섭취가 적은 여성
운동량이 적은 여성

골다공증의 예방
골다공증은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골다공증 예방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즉 칼슘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체중이 실린 운동으로 뼈를 자주 자극시켜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폐경 후에는 호르몬 대체 요법으로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것도 좋습니다.
골다공증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혈중칼슘의 농도가 10mg/100ml로 유지 해 칼슘의 골흡수와 골형성을 이루게 하는 것입니다.
즉, 적당한 칼슘섭취를 위해서는 하루에 6백~1천mg의 칼슘섭취가 필요하고, 식사습관도 유제품을 늘려야 하며 인스턴트식품이나 청량음료는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골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운동은 뼈를 강하게 만들고 유지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뼈에는 근육이 붙어 있는데 이 근육을 스트레칭 운동을 하면 뼈를 자극 시켜 골밀도를 증가 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2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까지의 운동과 칼슘섭취는 골밀도를 증가시켜 중년기에 골다공증이 발생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유익한 운동으로는 체중이 실린 운동인데 예를 들어 역기, 달리기(조깅), 줄넘기, 등산, 테니스, 배드민턴, 계단 오르기 및 에어로빅 등을 들 수 있습니다.